2024년 매일미사/2024년 11월

[매일미사_성직자들의 선생은 언제나 평신도들이었다.] 2024년 11월 10일 연중 제32주일 평신도 주일

James the Great (대)야고보 2024. 11. 10. 06:00

[매일미사] 2024년 11월 10일 연중 제32주일 평신도 주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 기념 없음)

평신도는 예수님께서 선택하신 백성으로서, 성직자가 아닌 모든 신자를 가리킨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평신도의 역할을 크게 부각하면서, 평신도를 통하여 교회가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이러한 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1968년 '한국 천주교 평신도 사도직 협의회'(지금은 '한국 천주교 평신도 사도직 단체 협의회')의 결성과 더불어 해마다 대린 제1주일을 '평신도 사도직의 날'로 지내기로 하였다. 평신도들에게 주어진 사도직의 사명을 거듭 깨닫게 하려는 것이었다. 그 뒤 1970년부터는 연중 마지막 주일의 전 주일을 '평신도 주일'로 지내 오다가,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연중 마지막 전 주일을 '세계 가난한 이의 날'로 정하시면서 2017년부터 한 주 앞당겨 지내고 있다.

<본기도>

전능하시고 자비로우신 하느님, 저희에게 해로운 것을 모두 물리쳐 주시어, 저희가 평안한 몸과 마음으로, 자유로이 하느님의 뜻을 따르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제1독서 < 과부는 밀가루로 작은 빵을 만들어 엘리야에게 가져다주었다. >

▥  열왕기 상권의 말씀입니다.( 17,10-16 )

그 무렵 엘리야 예언자는 10 일어나 사렙타로 갔다. 그가 성읍에 들어서는데 마침 한 과부가 땔감을 줍고 있었다. 엘리야가 그 여자를 부르고는, "마실 물 한 그릇 좀 떠다 주시어." 하고 청하였다.

11 그 여자가 물을 뜨러 가는데 엘리야가 다시 불러서 말하였다. "빵도 한 조각 들고 오면 좋겠소."

12 여자가 대답하였다. "주 어르신의 하느님께서 살아 계시는 한, 구운 빵이라고는 한 조각도 없습니다. 다만 단지에 밀가루 한 줌과 병에 기름이 조금 있을 뿐입니다. 저는 지금 땔감을 두어 개 주워다가 음식을 만들어, 제 아들과 함께 그것이나 먹고 죽을 작정입니다."

13 엘리야가 과부에게 말하였다. "두려워하지 말고 가서 당신 말대로 음식을 만드시오. 그러나 먼저 나를 위해 작은 빵 과자 하나를 만들어 내오고, 그런 다음 당신과 당신 아들을 위하여 음식을 만드시오. 14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소. '이 주님이 땅에 비를 다시 내리는 날까지, 밀가루 단지는 비지 않고 기름병은 마르지 않을 것이다.'"

15 그러자 그 여인은 가서 엘리야의 말대로 하였다. 과연 그 여자와 엘리야와 그 여자의 집안은 오랫동안 먹을 것이 있었다. 16 주님께서 엘리야를 통하여 하신 말씀대로, 단지에는 밀가루가 떨어지지 않고 병에는 기름이 마르지 않았다.

 

<NAB> 1 Kings (17,10-16)

10 He left and went to Zarephath. As he arrived at the entrance of the city, a widow was gathering sticks there; he called out to her, "Please bring me a small cupful of water to drink." 11 She left to get it, and he called out after her, "Please bring along a bit of bread." 12 "As the LORD, your God, lives," she answered, "I have nothing baked; there is only a handful of flour in my jar and a little oil in my jug. Just now I was collecting a couple of sticks, to go in and prepare something for myself and my son; when we have eaten it, we shall die." 13 "Do not be afraid," Elijah said to her. "Go and do as you propose. But first make me a little cake and bring it to me. Then you can prepare something for yourself and your son. 14 For the LORD, the God of Israel, says, 'The jar of flour shall not go empty, nor the jug of oil run dry, until the day when the LORD sends rain upon the earth.'" 15 She left and did as Elijah had said. She was able to eat for a year, and he and her son as well; 16 The jar of flour did not go empty, nor the jug of oil run dry, as the LORD had foretold through Elijah.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 그리스도께서는 많은 사람의 죄를 짊어지시려고 단 한 번 당신 자신을 바치셨습니다. >

▥  히브리서의 말씀입니다.( 9,24-28 )

24 그리스도께서는, 참성소의 모조품에 지나지 않는 곳에, 곧 사람 손으로 만든 성소에 들어가지 않으셨습니다. 이제 우리를 위하녀 하느님 앞에 나타나시려고 바로 하늘에 들어가신 것입니다. 25 대사제가 해마다 다른 생물의 피를 가지고 성소에 들어가듯이, 당신 자신을 여러 번 바치시려고 들어가신 것이 아닙니다. 26 만일 그렇다면 세상 창조 때부터 여러 번 고난을 받으셔야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그분께서는 마지막 시대에 당신 자신을 제물로 바쳐 죄를 없애시려고 단 한 번 나타나셨다.

27 사람은 단 한 번 죽게 마련이고 그 뒤에 심판이 이어지듯이, 28 그리스도께서도 많은 사람의 죄를 짊어지시려고 단 한 번 당신 자신을 바치셨습니다. 그리고 당신을 고대하는 이들을 구원하시려고 죄와는 상관없이 두 번째로 나타나실 것입니다.

 

<NAB> Hebrews (9,24-28)

24 For Christ did not enter into a sanctuary made by hands, a copy of the true one, but heaven itself, that he might now appear before God on our behalf. 25 Not that he might offer himself repeatedly, as the high priest enters each year into the sanctuary with blood that is not his own; 26 if that were so, he would have had to suffer repeatedly from the foundation of the world. But now once for all he has appeared at the end of the ages to take away sin by his sacrifice. 27 Just as it is appointed that human beings die once, and after this the judgment, 28 so also Christ, offered once to take away the sins of many, will appear a second time, not to take away sin but to bring salvation to those who eagerly await him.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put money
저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더 많이 넣었다.
저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더 많이 넣었다. <사진: Unsplash 의 Alexander Grey>

복음 < 저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더 많이 넣었다. >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2,38-44 )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군중을 38 가르치시면서 이렇게 이르셨다. "율법 학자들을 조심하여라. 그들은 긴 겉옷을 입고 나다니며 장터에서 인사받기를 즐기고, 39 회당에서는 높은 자리를, 잔치 때에는 윗자리를 즐긴다. 40 그들은 과부들의 가산을 등쳐 먹으면서 남에게 보이려고 기도는 길게 한다. 이렇나 자들은 더 엄중히 단죄를 받을 것이다."

41 예수님께서 헌금함 맞은쪼에 앉으시어, 사람들이 헌금함에 돈을 넣는 모습을 보고 계셨다. 많은 부자들이 큰돈을 넣었다. 42 그런데 가난한 과부 한 사람이 와서 렙톤 두 닢을 넣었다. 그것은 콰드란스 한 닢인 셈이다.

43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가까이 불러 이르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저 가난한 과부가 헌금함에 돈을 넣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더 많이 넣었다. 44 저들은 모두 풍족한 데에서 얼마씩 넣었지만, 저 과부는 궁핍한 가운데에서 가진 것을, 곧 생활비를 모두 다 넣었기 때문이다."

 

<NAB> Mark (12,38-44)

38 In the course of his teaching he said, "Beware of the scribes, who like to go around in long robes and accept greetings in the marketplaces, 39 seats of honor in synagogues, and places of honor at banquets. 40 They devour the houses of widows and, as a pretext, recite lengthy prayers. They will receive a very severe condemnation." 41 He sat down opposite the treasury and observed how the crowd put money into the treasury. Many rich people put in large sums. 42 A poor widow also came and put in two small coins worth a few cents. 43 Calling his disciples to himself, he said to them, "Amen, I say to you, this poor widow put in more than all the other contributors to the treasury. 44 For they have all contributed from their surplus wealth, but she, from her poverty, has contributed all she had, her whole livelihood."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성직자들의 선생은 언제나 평신도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