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알고 이해하고 싶은 가톨릭교리/Chapter 01. 그리스도교 CHRISTIANITY 7

3. 그리스도교의 인간 이해(3)

[ NIHIL AMORI CHRISTI PRAEPONERE ] [아무것도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보다 더 낫게 여기지 마십시오.] Ⅰ. 케노시스적 삼위일체론 ※ 케노시스 : 자기 비움 ※ 케노시스 기독론 : 예수가 인간이 될 때 자신의 절대적인 신성을 일부 제한했다는 이론 ※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이하 '발타자르'로 표기) 1. 사랑의 본질은 자기를 비우고 자기를 주는 것이다. 2. 본질이 사랑이신 삼위 하느님 각 위격들이 다른 위격을 위해 자기를 비우고 내어준다. ① 이는 예수의 '지옥 강하'와 연결된다. ② 예수는 지옥에서 스스로 하느님으로부터 버림받는 것에 자신을 동일시하였다. ③ 스스로 버림받음은 일종의 자기 비움이다. 3. 예수의 '지옥 강하'는 삼위 하느님 위격 간의 케노시스 관계가 나타난 사..

3. 그리스도교의 인간 이해(2)

[ NIHIL AMORI CHRISTI PRAEPONERE ] [아무것도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보다 더 낫게 여기지 마십시오.] Ⅰ.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의 삼부작, Hans Urs von Balthasar’s Theological Trilogy 1.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Hans Urs von Balthasar)는 원래 문학을 전공하여 독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취미로 신학을 공부하였고, 결국에는 엄청난 신학적 업적을 남겼다.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가 쓴 가장 유명한 작품이 '삼부작(三部作, Triologie)'이다. 2. 삼부작(三部作, Triologie) 개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가톨릭 작가이자 신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그의 작품에는 100권이 넘는 책..

3. 그리스도교의 인간 이해(1)

[ NIHIL AMORI CHRISTI PRAEPONERE ] [아무것도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보다 더 낫게 여기지 마십시오.] Ⅰ.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Hans Urs von Balthasar, 1905-1988) 1.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① 19세기말, 20세기 초 아담 묄러, 에릭 프르치바라, 앙리 드 뤼박, 이브 콩가르, 로마노 과르디니 등 쟁쟁한 가톨릭 신학자가 많았다. ②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이하 '발타자르'로 표기)는 스위스 출신 가톨릭 신학자로 쟁쟁한 가톨릭 신학자 중 한 명으로, 신학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③ 쟁쟁한 가톨릭 신학자 중 한 명인 '앙리 드 뤼박(Henri de Lubac, 1896-1991)'은 발타자르의 스승으로 '발타자르는 우리 시대의 최고의 교양인'이..

2. 믿음이란 무엇인가?(2)

[ NIHIL AMORI CHRISTI PRAEPONERE ] [아무것도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보다 더 낫게 여기지 마십시오.] 2. 믿음이란 무엇인가? Ⅳ. 신앙이란 무엇인가? 1. Πίστις, Pistis ▶ '믿음'을 의미하는 단어로, '주관적으로는 확고하고 확실하나, 객관적인 근거는 미약한 것, 비지성적인 행위'를 의미할 때 주로 사용된 말로, 사도 바오로는 신약성경의 많은 서간에서 이 단어를 골라서 사용하였다. 2. 하느님의 존재,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 등은 객관적으로 확증할 수 없지만, 자기 삶의 선택과 확신에 따라 믿는 '믿음의 행위'이다. 3. 사도 바오로는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행위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면서 'Πίστις, Pistis'를 자주 사용하였다. 4. 하느님의 말씀 = 예수..

2. 믿음이란 무엇인가?(1)

[ NIHIL AMORI CHRISTI PRAEPONERE ] [아무것도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보다 더 낫게 여기지 마십시오.] 2. 믿음이란 무엇인가? Ⅰ. 순교자의 나라, 일본 1. 일본가톨릭 역사 ① 일본가톨릭의 교세는 빈약하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② 16세기에 일본에 전래되어 교세가 빠르게 확장하였다. ③ 전래될 당시 파격적인 평등사상을 주창했기 때문이다. ④ 파격적인 평등사상 때문에 일본의 국가체제가 위협을 느끼게 되었다. ⑤ 그로 인해 일본에서는 약 250년 동안 일본가톨릭에 박해가 있었다. ⑥ 박해로 대략 4~5만 명 정도의 가톨릭신자가 순교하였다. 2. 엔도 슈사쿠(1923~1996)의 소설 '침묵' ▶ 엔도 슈사크의 소설 '침묵'에서 박해 당시 일본 그리스도교 신자들과 선교사들의 삶..

1. 그리스도교란 무엇인가?(2)

[ NIHIL AMORI CHRISTI PRAEPONERE ] [아무것도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보다 더 낫게 여기지 마십시오.] Ⅱ. 그리스도교란 무엇인가? 1. 가톨릭 1) 우리나라 가톨릭교회는 '로마가톨릭'이며, '천주교, 성단, 구교'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 가톨릭(Catholica)이란? '보편된', '일반적인',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등의 뜻이다. 3) 천주교 ▶ 16세기경 가톨릭교회가 동양에 전파되었다. ▶ 천주란, 하느님(Deus)이라는 개념을 하늘(天)과 연결하여 이름지었다. ▶ 천주교 또는 사양학문이라는 뜻에서 천주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 기독교 1) 기독이란? 그리스도(Christus)를 한자로 음독한 것이다. 2) 기독교란? 가톨릭교회(서방교회), 정교회(동방교회), 개신교..

1. 그리스도교란 무엇인가?(1)

[ NIHIL AMORI CHRISTI PRAEPONERE ] [아무것도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보다 더 낫게 여기지 마십시오.] 1. 그리스도교란 무엇인가? Ⅰ. 종교란 무엇인가? 1. 종교의 의미 1) 종교의 어원 ① 宗敎(한자), '최고의 가르침' ② Religion(서양), re(다시)+legere(묶다), '다시 묶다' 또는 '다시 연결하다.' 2) 종교의 의미 '종교'가 지닌 근본적인 의미는 하느님과 인간을 연결하는 데 있다. 3) 종교의 고유한 역할(특별함) ① 인간이 지닌 가장 근본적인 문제들 ▶ 인간은 어디에서 왔고 죽음 후에는 어디로 가는가? ▶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 사는 것은 죽는 것보다 더 나은가? ② 종교의 고유한 역할(특별함) ▶ '인간이 지닌 가장 근본적인 문제들'의 문제..